목록기타/라이징프로그래머 2기 (21)
YS's develop story

지금까지 설계한 api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정) 피드백 내용 정리: 1. url은 그 계층 구조가 명확해야 합니다. /cafe/:cafeid /cafe/:cafeid/review 2. get, post, patch와 같이 메서드 동사를 url에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메서드가 이미 그 역할을 명시해 주고 있기 때문이죠. /getcafe/:cafeid -> /cafe/:cafeid 3. Body에는 DB에 저장되는 실제 데이터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고(가령 회원정보를 저장할 때 필요한 데이터들) 특정 카페를 식별해야 하는 경우는 path variable을 사용합니다. 4. Body에 들어오는 모든 데이터들은 개발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들어올 수 있도록 validation이 있어야 합니다. ex) 회원 가입..

과제 1 : Node js를 활용하여 서비스에 필요한 rest api 설계 및 구현 지난번 과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ERD를 설계하고 MySQL쿼리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Node js, Node js의 Framework인 Express를 활용하여 서비스에 필요한 rest api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rest와 rest api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 RP2기 ) API와 REST API란 무엇인가..? RP2기 ) API와 REST API란 무엇인가..? RP2기 API와 REST API란 무엇인가..? 수업내용 정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Request, Response를 통해 주고받는 데이터 덩어리를 Packet라고 합니다. Packet을 소포 상자라고 생각해 봅시다. 소포 상..

지난번에 설계한 ERD를 바탕으로 DataGrip을 활용하여 쿼리를 작성해 봅시다! 우선 각각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임의로 넣어줍시다... 그리고 작성했었던 엑셀을 바탕으로 쿼리를 작성했습니다! (로그인 시 사용할 수 있는 찜관련 쿼리는 우선 빼고 작성했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설계했었던 ERD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앱 전체의 ERD를 설계하고 이에 대한 쿼리를 작성할 것입니다....!! 우선 애플리케이션의 각 화면을 아래와 같이 pdf로 정리를 했습니다. aquerytool를 이용해 아래와 같이 ERD 설계를 했습니다. 아직 ERD설계에 대한 감이 잡히지 않아 미숙한 부분이 많은데, 점점 보충을 해야겠습니다... 설계한 각각의 table를 자세히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설계한 ERD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어떤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지 아래와 같이 정리를 했습니다 ~ 나중에 쿼리를 짜는데 이를 참고하면 편하기 때문이죠 다음 파트에서는 설계한 ERD를 바탕으로 직접 쿼리를 짜 봅시다.

new cafe라는 테이블에 아래와 같은 정보가 있습니다 ~ select * from 테이블 이름; 이라는 쿼리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나오게 되고.. select 특정값 from 테이블 이름; 이런 식으로도 데이터를 보여주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User이라는 table이 있을 때 select 특정 값 from 테이블 이름 where 특정값 = ' '; 과 같이 특정 조건을 지정해서 값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데이터를 엑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쿼리를 작성해 봅시다. 1차 데이터 수정 후 2차 데이터 아래처럼 생성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임의로 넣어 줍시다. as를 활용해서 Event라는 테이블을 s로 지정하고 보다 간결..

지난번 과제에서 AWS에서 서버를 구축하고 mysql을 설치 한 뒤 Datagrip와 외부 연결을 해 주었는데요.... 이번에는 직접 애플리케이션의 ERD를 설계하고 DataGrip을 이용하여 DB 쿼리를 작성하는 과제입니다. 웹 기반으로 ERD 모델을 그려볼 수 있는 AQueryTool를 사용해 Database ERD 모델을 그려 볼 것입니다. https://aquerytool.com/ AQueryTool - AQuery.Web {{source.erd_info.erd_name + '(' + source.erd_info.db_type + ')'}} aquerytool.com ERD란?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데, 이 데이터의 구조 및 그에 수반한 제약 조건들은 다양한 기법에..

오늘의 목표!! 카카오톡 채팅 목록 화면을 ERD설계를 해보고, 이를 보여주는 MySQL 쿼리문을 작성해 봅시다! DataGrip을 실행 후 kakaoDB라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해 줍시다 schemas에 생성된 kakaoDB선택 후 Jump to Query Console 선택 웹 기반 ERD설계 사이트 AQueryTool에서 아래와 같이 ERD를 설계했습니다. https://aquerytool.com/ AQueryTool - AQuery.Web {{source.erd_info.erd_name + '(' + source.erd_info.db_type + ')'}} aquerytool.com 모든 테이블 생성 SQL 옵션을 통해 SQL 쿼리를 생성 생성된 SQL 쿼리를 DataGrip에 복사 - 붙여 넣기..

네 번째 과제 1. Let's Encrypt를 사용하여 보안 연결 HTTPS 연결이 되도록 하기 위해 SSL 인증서를 얻기. SSL 인증서란? SSL 인증서는 인터넷 보안에서 중추적인 요소입니다. 디지털 인증서라고도 하는 SSL(보안 소켓 계층) 인증서는 브라우저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서버 또는 웹사이트 간에 암호화된 연결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SSL 연결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방해로부터 각 방문(세션) 중에 교환된 중요한 데이터(예: 신용카드 정보)를 보호합니다. 웹 사이트를 구축하거나 운영할 때 보안 연결인 HTTPS연결은 필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앞서서 구축한 도메인에 HTTPS연결을 해 볼 것입니다. Let's Encrypt를 이용하면 무료로 HTTPS 보안 연결을 진행할 수 ..

세 번째 과제 1. AWS EC2 Ubuntu 서버에 가비아 도메인 연결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여 ip주소 대신에 도메인을 이용하여 AWS EC2 퍼블릭 IPv4 주소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우선 아래 가비아 사이트에서 저렴한 1900원짜리 site 도메인을 하나 구매를 하였습니다.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가비아 홈페이지에서 - MY 가비아 - DNS 관리 툴을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페이지가 나옵니다. DNS 설정을 누른 뒤 AWS 퍼블릭 IPv4 주소를 넣고 호스트를 설정해 주면 됩니다. www는 도메인 앞에 www을 붙인 주소에 접속했을 때이고 ..

두 번째 과제 1. AWS EC2를 이용한 ubuntu 서버 구축. 2. WinSCP를 이용하여 AWS 인스턴스에 nginx, php, mysql 설치. 3. datagrip을 이용하여 mysql 외부 접속해보기. 1. AWS 서버 구축 우선 아래 AWS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해 줍니다. www.google.co.kr/aclk?sa=L&ai=DChcSEwie6-T9o5HuAhXL15YKHceoBLIYABABGgJ0bA&ae=2&sig=AOD64_3Bu9lSLIFsiVFKa6x1DYPz8uIgJw&q&adurl&ved=2ahUKEwinit79o5HuAhWNvZQKHa5eDX0Q0Qx6BAgSEAE AWS 프리 티어 12개월 무료: 이 프리 티어 오퍼는 AWS 신규 고객에게만 제공되며 AWS 가입일..